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6월 18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丁未일)
등록일 2023.06.19 조회수 743

2023618일 일요일(癸卯戊午丁未)

 

丁戊癸

未午卯

 

7464544434241404

庚辛壬癸甲乙丙丁

戌亥子丑寅卯辰巳

 

오행이 아닌 천간 지지 중심의 새로운 12운성 이론이 여기저기로 퍼져나가는 모양이다. 곳곳에서 기존의 명리 이론과 부딪치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바람직한 일이다. 새로운 뭔가가 출현하면 기득권을 가진 기존 세력의 저항이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서로 논쟁을 벌이다가 어느 한 편의 승리로 끝나게 된다. 이 또한 자연의 법칙이다.

 

유튜브 등을 보고 개인적으로 새로운 12운성 이론에 대해 공감하는 분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에서 새로운 12운성으로 함께 공부하는 분들은 이제 과거로 돌아가기 힘들 것이다. 더 논리적이고 체계적이고 자연의 법칙에 맞는 이론으로 무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진리는 간단하다. 새로운 12운성 이론은 자연의 법칙에 근거를 두고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변화와 아침 낮 저녁 밤의 변화가 자연의 법칙이다. 자연의 법칙을 천간과 지지로 적어놓은 학문이 명리학이다. 아침 낮 저녁 밤처럼 자연의 변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누구나 명리학을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다.

 

과거 명리를 배울 때 지장간을 외우느라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또 기존 12운성표를 이해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었다. 논리적으로 이해가 안 되고 무작정 외우라는 설명 때문이다. 인터넷에는 지장간 외우는 법까지 유행하고 그랬다.

 

각 지지에는 10개의 천간이 모두 존재한다. 지지에 두세 개의 천간만 적어놓은 지장간 이론은 자연의 법칙에 맞지 않다. 자연의 법칙에 맞지 않은 이론들 때문에 명리학이 어렵다는 인식이 퍼져있다. 이제는 정상으로 돌아와야 할 때이다.

 

丁戊癸

未午卯

 

7464544434241404

庚辛壬癸甲乙丙丁

戌亥子丑寅卯辰巳

 

丁未일이다. 월의 丁火는 강할까? 오행으로 접근하면 신강(身强)하다고 할지도 모른다. 巳午未에서는 丙火가 록왕쇠이고, 丁火는 절태양이다.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이 丙火丁火를 구분하지 못해서 되겠는가? 丙火는 태양이고 丁火는 촛불이라고 비유한다. 태양은 巳午未에서 빛나고 촛불은 亥子丑에서 빛난다.

 

일간 丁火는 월지와 일지에서 태() 중 양()이다. 이렇게 월지와 일지로 일간의 그릇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일간이 丁火라고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일간을 팔자 본부인 월지와 일지에 대입하면 일간이 丁火라고 하더라도 그 종류는 72가지가 된다. 그냥 일간만 묻고 아는 체하는 것이 얼마나 단순한 생각인지 알 수 있다.

 

일간이 변하니 연간 癸水는 편관이 된다. 연간 편관 癸水의 그릇의 크기도 월지와 연지로 정한다. 연간 편관 癸水는 월지 에서 제왕이고 연지 에서 목욕이다. 월간 戊土 상관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월간 戊土 상관은 월지 에서 제왕이니 제왕 중 제왕이다. 월간은 월지와 동주의 지지가 같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들고 다니면 폼이 난다. 원문으로 읽으면 더 폼이 난다. ㅎㅎ 그러나 폼이 나면 실속이 없다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난강망(궁통보감)에 대해 알아본다.

 

동수(冬水)

 

□□

□□

 

동수(冬水)는 음양(陰陽)의 균형을 위해 를 만나야 한다.

 

해설) 오행의 기준을 적용하면 이런 단순한 설명이 된다. 가 만나면 음양의 균형이 이루어질 것 같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천간 지지 중심의 기준을 적용하면 맞지 않을 수도 있다. 丙火癸水 그리고 壬水丁火는 손바닥과 손등의 관계와 같다. 항상 함께 다닌다. 반면 丙火壬水 그리고 癸水丁火는 시소의 양쪽에 위치한다. 손바닥과 손등도 음양관계이고 시소의 양쪽 끝도 음양관계이다. 그러나 기준이 다르므로 같다고 할 수는 없다.

 

동수(冬水)를 만나면 강한 가 억제되니 좋다.

 

해설) 겨울의 는 강할까? 그래서 토극수로 억제하면 좋을까? 겨울 亥子丑에서 壬水는 록왕쇠가 되고, 癸水는 절태양이다. 겨울 亥子丑에서 戊土는 절태양이고 己土는 록왕쇠이다. 壬水己土는 더 응축 더 하강하는 속성이 있고, 戊土癸水는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속성이 있다. 반복해서 말하지만 오행의 상생상극은 십신을 정할 때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십신은 천간끼리 정한다. 천간과 지지로 십신을 정하지 않도록 한다. 이런 기본 원칙이 무너지니 배가 산으로 간다.

 

 

동수(冬水)이 많으면 의()가 없고, 이 성()하면 강한 으로 흘러 유정(有情)하다.

 

해설) ()가 없다거나 유정(有情)하다는 뜻은 무엇일까? 학문은 구체적이고 섬세해야 한다. 독자나 청중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쉽고 명쾌해야 한다. 그리고 누구나 수긍할 수 있도록 과학적 논리적이어야 한다. 고상한 척 뜬구름 잡는 이야기를 해서 수많은 해석을 낳게 해서는 안 된다. 겨울철 가 강한데 이 많으면 금생수로 더욱 가 많아지니 이 부정적이라는 설명이다.나이스사주명리 | 2023년 6월 18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丁未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6월 19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戊申일)
다음글 2023년 6월 17일 토요일(癸卯년 戊午월 丙午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