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7월 19일 수요일(癸卯년 己未월 戊寅일)
등록일 2023.07.19 조회수 645

2023719일 수요일(癸卯己未戊寅)

 

戊己癸

寅未卯

 

7767574737271707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한두 달 전에 광주 전남 지역에 가뭄이 들어서 물 부족 경고 프랑카드가 사방에 붙었다. 화장실에 벽돌을 하나씩 넣으라고 아파트 앞에 벽돌을 놓아두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광주에 들어오는 상수원은 화순 동복댐과 순천 주암댐이다. 비가 며칠 퍼붓더니 이제 동복댐은 곧 넘칠 것 같아서 이재민 대비에 나섰고, 주암댐도 80% 가까이 차올라서 물을 방류(放流)하고 있다고 한다. 춥다고 해서 더위 좀 주면 난리를 치고, 덥다고 해서 추위를 주면 또 난리이다. 물이 부족하다고 해서 물을 주면 난리이고, 물이 많다고 해서 물을 안 주면 또 난리이다. 사람들 마음은 알 수가 없다. 천간은 수시로 변하니 그냥 그런갑다.”하고 호들갑을 떨지 말고 무감각해지는 것이 정답이다. 그냥 조용히 왔다가 조용히 가면 된다. 어디를? ㅎㅎ

 

비가 많이 와서 홍수가 나고 가뭄이 와서 땅이 말라비틀어지는 것은 지지의 변화이다. 천간 마음은 쉽게 변하니 지지에 사람의 마음을 맞춰야 한다. 이것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이다. 지지 현실에 쉽게 변하는 천간을 맞춰 살아야 한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명리학이 가르쳐 주는 진리(眞理)이다. 힘을 빼고 하루하루 살아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삶이다. ()이다.

 

戊己癸

寅未卯

 

7767574737271707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원국은 정재격(正財格)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 명리학을 배우는 모든 사람이 정재격이라고 해야 한다. 출제자의 의도를 읽고 답을 해야지 자기 생각을 답하면 안 된다. “내 생각에는 이것이 답인데...” 누가 너 생각을 답하라고 했나? 출제자의 의도를 답해야 한다.

 

격이란 그 운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가장 강한 세력을 말한다. 원국의 격이란 무엇인가? 팔자에서 가장 강한 세력이라고 말하면 된다. 연간 癸水가 월지 에서 쇠()이므로 정재격이다. 가장 바쁘고 열심히 살아가는 록왕쇠를 격으로 삼는다. 그렇게 약속을 정한다. 격은 운에 의해서 변한다. 여름에는 여름격, 가을에는 가을격, 겨울에는 겨울격, 봄에는 봄격이 된다.

 

운의 중간 亥子丑 운에는 己土가 록왕쇠이다. 이때는 겁재격이 된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 원국만 쳐다보며 정재격을 노래하면 안 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변하고 변하는 것이 역()이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들고 다니면 폼이 난다. 원문으로 읽으면 더 폼이 난다. ㅎㅎ 그러나 폼이 나면 실속이 없다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난강망(궁통보감)에 대해 알아본다.

 

***

 

乙木-2

 

乙木이 하나의 乙木庚金을 보았을 때 己土가 없다면 작은 부귀(富貴)가 있지만 현달(顯達)하지는 못한다. 이때 己土乙木을 배양하고 庚金을 돕는다.

 

해설) 난강망은 하나의 乙木庚金을 보면 乙庚합으로 각자의 역할이 줄어든다고 본다. 후에 난강망으로 배운 사람들도 그렇게 따라서 한다. 乙木庚金은 천간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乙木운에는 庚金이 약해지고 庚金운에는 乙木이 약해진다.

 

운을 보며 적절한 글자를 쓰면 탈이 없다. 그러나 운도 보지 않고 무작정 아무 글자는 쓰고 좋으면 합화(合化)되었다고 하고 좋지 않으면 합거(合去)되었다고 둘러댄다. 己土는 논밭과 같은 땅이니 乙木 나무를 배양하고 토생금으로 庚金을 돕는다고? ㅎㅎ

 

戊土는 더 확산 더 상승하는 丙火를 억제하고 응축 하강하는 庚金을 돕는다. 己土는 더 응축 더 하강하는 丁火를 억제하고 확산 상승하는 辛金을 돕는다. 戊土己土로 인하여 우주는 반복 순환운동을 하고 있다. 원문은 언급할 가치가 없는 설명이다.

 

乙木의 사주에 가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가 많을 때는 가 유용하다.

 

해설) 갑자기 오행이 등장했다. 戊土己土 그리고 壬水癸水의 구분에 자신이 없다는 뜻이다. 乙木은 응축 하강하는 속성이 있다. 戊土는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속성이 있다. 己土는 더 응축 더 하강하는 속성이 있다. 다만 더 응축 더 하강하면 볼품이 없으니 크고 많고 높은 것을 좋아하는 나리님들은 己土를 무시할 수 있다. 가 많을 때는 토극수로 가 유리하다는 말을 이제는 그만 들었으면 좋겠다. 그러나 앞으로도 주구장창 나올 것이다.

 

가 많을 때 己土를 만나면 재능은 뛰어나도 급제는 어렵고, 己土 대신 戊土를 만나면 이도(異途)로 발달할 수 있다.

 

해설) 乙木가 많다는 말은 인성이 많다는 뜻인데 壬水인지 癸水인지는 모른다. 壬水癸水는 음양관계로 정반대의 속성이 있는데 대충 라고 해 버리니 어쩌자는 것인지... 그래도 난강망의 타고난 격이 좋아서 3대 보서(寶書)라고들 한다. 보물이 꼭 실용적이거나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한때 무시 당했던 것들이 귀한 대접을 받기도 하나이스사주명리 | 2023년 7월 19일 수요일(癸卯년 己未월 戊寅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7월 20일 목요일(癸卯년 己未월 己卯일)
다음글 2023년 7월 18일 화요일(癸卯년 己未월 丁丑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