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8월 17일 목요일(癸卯년 庚申월 丁未일)
등록일 2023.08.17 조회수 552

2023817일 목요일(癸卯庚申丁未)

 

丁庚癸

未申卯

 

7868584838281808

戊丁丙乙甲癸壬辛

辰卯寅丑子亥戌酉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김영훈교수의 노력의 배신이라는 책을 샀다. 회원인 밀리의 서재에서 전자책으로 읽어도 되는데 괜히 샀다. 구세대라는 것을 인정했다. 저자는 차라리 이기적으로 살 걸 그랬습니다라는 책을 쓰신 분이다. 노력의 배신이라는 책은 우연히 신문에 소개된 것을 보았는데 명리학을 강의할 때 자주 했던 말과 비슷해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 태어날 때 그릇의 종류와 크기가 정해져 버리므로 아무리 노력해도 채송화가 해바라기가 될 수 없고 해바라기가 채송화가 될 수 없다. 저자는 학자답게 경험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명리학 이론을 제도권의 심리학자가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다. 내 생각에는 쉬운 이론을 어렵게 쓰고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냥 무조건 노력하면 된다는 사회, 노력이 부족해서 그러니 잠을 안 자고 노력해야 된다는 사회, 몇 시간 자면 떨어지고 몇 시간 자야 합격한다는 사회, 누가 더 밤늦게까지 학생들을 잡아놓고 있는지 경쟁하는 사회 - 무조건 노력만 강조하는 이런 사회를 저자는 비판한다. 노력해도 토끼는 호랑이가 될 수 없고, 벚나무가 꽃을 피우는 것은 자기 노력이 아니라 운의 도움이라는 내용은 명리학의 기본이 아니던가? 이분에게도 다시 쓰는 명리학(이론편)을 한 권 보내야겠다. ㅎㅎ

 

丁庚癸

未申卯

 

7868584838281808

戊丁丙乙甲癸壬辛

辰卯寅丑子亥戌酉

 

오늘 팔자의 격()은 누구나 정재격(正財格)이라고 말할 것이다. 자평진전평주에 보면 같은 사주를 놓고도 다른 격에 배치한 경우가 있다.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과거 억부용신이 유행하던 시절 신강한 사주냐 신약한 사주냐를 가지고도 말이 많았다.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록왕쇠는 가장 열심히 일하는 시기이고, 절태양은 가장 여유롭고 한가한 시기이다. 12운성을 적용하면 간단히 해결될 일이다. 그러면 왜 12운성을 적용하지 않았을까? 기존의 12운성표가 천간과 지지가 아닌 오행 중심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木火土金水 오행을 음양으로 나누어 놓은 것이 천간이다. 음양운동은 들어가면 나오고, 올라가면 내려오고, 열면 닫고, 펼치면 덮고, 입으면 벗고... ”를 반복하는 운동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늘 하는 행동들이다. 살아있는 것들은 모두 음양운동을 한다. 살아있으려면 음양운동을 해야 한다. 木火土金水 오행도 음양운동을 통해 살아있다.

 

甲木이 확산 상승하면, 乙木은 응축 하강한다.

丙火가 더 확산 더 상승하면, 丁火는 더 응축 더 하강한다.

戊土丙火庚金으로 전환하면, 己土丁火辛金으로 전환한다.

庚金이 응축 하강하면, 辛金은 확산 상승한다.

壬水가 더 응축 더 하강하면, 癸水는 더 확산 더 상승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들고 다니면 폼이 난다. 폼이 나면 실속이 없다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난강망(궁통보감)에 대해 알아본다.

 

***

 

丙火

 

丙火는 태양이 서쪽으로 넘어가는 때로 양기(陽氣)가 쇠()해진다. 丙火를 보면 어두워지지만 壬水를 용()하면 태양이 호수를 비춘 것처럼 하늘이 빛나게 된다. 丙火壬水를 보면 광휘(光輝)가 빛난다.

 

해설) 가을이 되어도 오로지 丙火壬水를 찾는다. 丙火에서 병()이고, 壬水에서 장생(長生)이다. 천간은 지지 현실에 따라 상황이 바뀐다. 하늘의 태양도 지지 즉 시간과 공간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오로지 丙火壬水만 찾고, 壬水丙火만 찾으면 다른 천간을 가진 사람은 모두 하찮은 사주가 되는가? 세상에 필요하지 않은 사주는 없다.

 

丙火를 보면 화생토가 되어 어두워진다는 말도 어폐(語弊)가 있다. 丙火가 항상 밝게 빛나지는 않는다. 지지 변화에 따라 丙火도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을 자야 한다. 丙火壬水를 보면 항상 광휘가 빛나지는 않는다.

 

 

丙火는 약해지기 쉬우니 이나 에 통근하면 좋다.

 

해설) 명리를 공부하면서 지장간은 잊는 게 낫다. 지장간에 뿌리를 둔다는 통근(通根)도 잊는 게 좋다. 모든 지지에는 열 개의 천간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丙火에서 장생이고 에서 건록이다. 丙火巳午未에서 록왕쇠가 된다.

 

丙火壬水가 많을 때 하나의 戊土가 출하여 제()하면 현달(顯達)하고 권세(權勢)가 있다. 壬水가 투간(透干)하고 다시 戊土가 투간(透干)하면이스사주명리 | 2023년 8월 17일 목요일(癸卯년 庚申월 丁未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8월 18일 금요일(癸卯년 庚申월 戊申일)
다음글 2023년 8월 16일 수요일(癸卯년 庚申월 丙午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