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명리 입문편
(1) 날로 각광받는 명리학
① 사주팔자 표
② 4개의 기둥 사주(四柱)
③ 간지(干支)의 이름
④ 지장간(支藏干)
⑤ 대운(大運)
(2) 팔자가 있는 위치의 의미
① 사주보는 법
(3) 음양(陰陽)
① 쥱 음양의 차이
② 간지(干支)의 음양 정리
(4) 오행(五行)
① 천간과 지지의 글자를 오행으로
② 오행의 표
③ 木火土金水 - 木
④ 木火土金水 - 火
⑤ 木火土金水 - 土
⑥ 木火土金水 - 金
⑦ 木火土金水 - 水
⑧ 오행의 상생(相生) 운동
⑨ 오행의 상극(相剋) 운동
(5) 사주에 특정 오행이 없을 경우
① 木이 없을 경우
② 火가 없을 경우
③ 土가 없을 경우
④ 金이 없을 경우
⑤ 水가 없을 경우
(6) 10천간(天干)
① 십천간의 설명
•甲木 •乙木
•丙火 •丁火
•戊土 •己土
•庚金 •辛金
•壬水 •癸水
② 천간의 생극(生剋)
(7) 12지지(地支)
① 지지의 성질
•지지의 오행
•지지의 상생상극(相生相剋)
•지지의 土
② 지지의 생지(生地) 왕지(旺地) 고지(庫地)
•생지 寅申巳亥의 특징
•왕지 子午卯酉의 특징
•고지 辰戌丑未의 특징
③ 12지지(地支)의 설명
•子水 •丑土
•寅木 •卯木
•辰土 •巳火
•午火 •未土
•申金 •酉金
•戌土 •亥水
(8) 지장간(支藏干)
① 지지 속의 지장간
② 지지의 음양
(9) 24절기(節氣)
(10) 육친(六親)
① 십신(十神)
② 육친 연습
③ 육친의 의미
④육친의 생극(生剋)
⑤육친 정리
•비겁(比劫)
•식상(食傷)
•재성(財星)
•관성(官星)
•인성(印星)
(11) 십신(十神)의 성질
•비견(比肩)의 성질
•겁재(劫財)의 성질
•식신(食神)의 성질
•상관(傷官)의 성질
•편재(偏財)의 성질
•정재(正財)의 성질
•편관(偏官)의 성질
•정관(正官)의 성질
•편인(偏印)의 성질
•정인(正印)의 성질
(12) 형충회합파해(刑沖會合破害)
① 천간끼리의 반응
•천간합(天干合)
•천간합화(天干合化)
② 지지끼리의 반응
•육합(六合)
•충(沖)
•형(刑)
•파해(破害)
•삼합(三合)
•반합(半合)
•방합(方合)
•삼합과 방합의 차이
(13) 통근(通根)과 투출(透出)
① 천간의 힘의 비교
② 지지의 힘의 비교
③ 억부용신(抑扶用神) 찾기
(14)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15) 12운성(運星)
① 12운성의 새로운 해석
•천간의 음양운동
② 새로운 12운성 표
③ 기존의 12운성 표
(16) 12신살(神殺)
•겁살(劫殺)
•재살(災殺)
•천살(天殺)
•지살(地殺)
•년살(年殺)
•월살(月殺)
•망신살(亡身殺)
•장성살(將星殺)
•반안살(攀鞍殺)
•역마살(驛馬殺)
•육해살(六害殺)
•화개살(華蓋殺)
(17) 공망(空亡)
제2부 명리 중급편
(1) 土에 대하여
① 土의 종류
② 왜 천간의 음과 양 사이에는 土가 없을까?
③ 고지(庫地)와 묘지(墓地)의 차이
(2) 물상결합(物象結合)
① 근묘화실(根苗花實)
② 천간이 뿌리가 되는 시기
(3) 지장간과 통근
① 지장간 초기(=여기)의 역할
② 지장간 중기의 역할
③ 지장간 말기(=정기)의 역할
④ 지장간의 비율
⑤ 지장간 중기는 사회활동과 관계가 있다
⑥ 생지·왕지·묘지
⑦ 반합과 지장간
⑧ 충과 지장간
(4) 천간, 지지, 지장간의 차이
① 寅木과 卯木의 차이
② 천간합과 지지합의 차이
(5) 여러 가지 신살(神殺)
•삼재(三災)
•천을귀인(天乙貴人)
•원진살(怨嗔殺)
•도화살(桃花殺)
•백호살(白虎殺)
•귀문살(鬼門殺)
•역마살(驛馬殺)
•현침살(懸針殺)
•양인살(羊刃殺)
•탕화살(湯火殺)
•천라지망(天羅地網)
•고신살(孤身殺)
•과숙살(寡宿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