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6월 11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庚子일)
등록일 2024.06.19 조회수 251

2023611일 일요일(癸卯戊午庚子)

 

庚戊癸

子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세상에는 참으로 다양한 조직들이 있다. 국가나 정치 단체와 같은 조직도 있고 수많은 종교 단체도 있다. 신문이나 방송사 잡지사와 같은 단체도 많고 동창회 동호인 문중 가족 또는 개인들이 만든 조직도 정말 많다. 개인들도 보통 몇 개씩은 조직이나 단체에 속해 있다.

 

이 많은 조직이 모두 자기 목소리를 내니 세상은 정말 시끄럽다. 여야 정치인들만 봐도 그렇고, 종교 간의 싸움도 그렇고, 심지어는 조직이 커지면 또 분파(分派)가 나누어져서 자기 목소리를 낸다. 모두 자기가 옳다고 한다.

 

명리학은 서로 다름을 인정하라는 학문이다. 태어날 때 정해지는 팔자의 수는 518,400가지이다. 모든 사람이 사주팔자라는 자기의 색안경을 끼고 세상을 본다. 모두가 자기 눈으로 직접 보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색안경의 색깔이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은 모른다. 내가 내 눈으로 직접 보았으니 옳다고 주장한다. 내가 내 눈으로 직접 본 세상도 변한다. 아침 다르고 저녁 다르다. 봄 다르고 가을 다르다. 우주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내가 속한 조직이나 내가 하는 일 또는 내가 사는 지역에 따라 세상은 또 달리 보인다. 의사와 환자, 정치권의 여야(與野), 기업의 노사(勞使), 학교의 사제(師弟) 모두 다른 각도에서 세상을 본다. 결론은 내가 본 세상만이 전부 옳다는 것은 아니다. 각자 다른 색깔의 색안경으로 세상을 보고 있다. 그래서 내 눈으로 직접 보았다고 우기지만 사실은 자기에게만 맞는 이야기일 뿐이다. 그리고 내가 본 대상도 낮 다르고 밤 다르다. 하루빨리 명리학이 널리 퍼져서 다른 사람은 나와 다른 색안경으로 세상을 보고 있다는 것을 알았으면 좋겠다.

 

庚戊癸

子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팔자 원국에서는 월지가 가장 힘이 강하다. 가장 힘 있는 지지가 장성살이다. 월지 가 장성살이니 연지 는 육해살이고, 일지 는 재살이다. 재살은 12운성 태()와 같이 생각하면 된다. 재살은 수옥살이라고도 하는데 감옥에 간다는 뜻이 아니고 감옥에 있는 것처럼 조용히 지내라는 뜻이다.

 

월지는 청년 시절의 현실이고 일지는 중년 시절의 현실이다. 장성살과 재살의 글자는 서로 반대쪽에 있다. 충의 관계로 가장 먼 위치이다. 같은 공간에 있으면 안 된다. 결국 청년 시절과 중년 시절의 삶의 환경이 달라야 한다. 충이나 원진처럼 멀리 있는 글자들은 머나면 환경에서 살면 좋다.

 

월지를 부모궁 일지를 배우자 궁으로 본다면 부모와 떨어져 살면 좋다. 붙어있으면 충돌이 생긴다. 충이나 원진이 있다고 무조건 좋거나 나쁘지는 않다. 붙어있으면 팔자의 지시를 어긴 것이고 떨어져 있으면 팔자의 지시를 지킨 것이다. 팔자의 시간표를 지키면 탈이 없다.

 

월간 戊土 편인이 월지에서 제왕이므로 편인격이다. 편인격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戊土를 쓰는 편인격이다. 연간 상관 癸水도 월지 에서 제왕이고 연지 에서 목욕이다. 그래서 상관 癸水는 제왕 중 목욕이다. 팔자에서 가장 강한 세력을 격이라고 한다. 癸水戊土 중에서 어느 것이 더 강한가? 월간 편인이 더 강하다. 그러나 연간 상관도 제왕 중 목욕이니 약한 것은 아니다. 둘 중 어느 것을 쓰느냐는 운을 보며 결정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甲木-1

 

□□

□□

 

十月甲木 庚丁?要 丙火次之忌壬水泛身 須戊土制之

 

甲木庚金丁火가 중요하고 丙火는 그 다음이다. 壬水을 뜨게 하므로 꺼리므로 반드시 戊土로 그것을 제()해야 한다.

 

해설) 甲木은 장생이다. 장생은 이제 태어난 아이와 같다. 아직 독립은 힘들다. 그래서 윗사람 밑에서 조직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난강망의 甲庚丁의 사랑은 계속된다. 庚金은 편관이고 丁火는 상관인데 좋은 관계란다. 아무 때나 丁火庚金을 제련한다고 한다. 자평진전이라면 흉신들이니 좋지 않다고 했을지도 모른다. 이렇게 책마다 사람마다 다른 기준을 가지면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丁火가 없으면 丙火가 차선책이라고 한다. 월의 丙火는 절()이다. 명리 고전은 가을 겨울은 쌀쌀하니 丙火 태양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렇지 않다. 가을 겨울에는 난로 丁火가 필요하다. 가을 겨울 丙火는 병사묘 절태양으로 힘이 없다.

 

월에 壬水는 건록으로 더 응축 더 하강하는 힘이 강하다. 가 강하면 무조건 戊土로 토극수 하라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 월의 戊土丙火처럼 절()이니 힘이 없다.

 

若庚丁兩透 又加戊出干 名曰去濁留? 富貴之極 ?乏丁火 亦稍有富貴

 

만약 甲木에게 庚金丁火가 양투하고 다시 戊土가 천간에 투출(透出)하면 부귀가 극품(極品)에 이른다. 丁火는 없어도 약간은 부귀하다.

 

해설) 甲木에게 庚金丁火가 있을 때 戊土가 천간에 있으면 부귀가 극품이란다. 개인의 경험이나 추측으로 설명한다. ()하고 귀()는 다르다. 식재는 부()와 관련이 있고 귀()는 관인과 관련을 짓는다나이스사주명리 | 2023년 6월 11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庚子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6월 12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辛丑일)
다음글 2023년 6월 10일 토요일(癸卯년 戊午월 己亥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