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2023년 10월 14일 토요일(癸卯년 壬戌월 乙巳일) | ||
| 등록일 | 2024.09.17 | 조회수 | 365 |
2023년 10월 14일 토요일(癸卯년 壬戌월 乙巳일)
乾
□乙壬癸
□巳戌卯
甲乙丙丁戊己庚辛
寅卯辰巳午未申酉
지지 현실이 천간 생각보다 중요하다. 이 사실만 깨닫고 실천한다면 명리학을 제대로 배운 사람이다. 우리는 지지보다 천간이 중요하다고 거꾸로 교육을 받아왔다. 큰 꿈과 야망을 키워야 한다고 배워왔다. 태어날 때 정해진 그릇의 종류와 크기는 바꿀 수 없다. 명리학은 나(我)를 알기 위한 학문이다.
태어날 때 정해진 그릇의 종류와 크기를 어기고 벼락부자를 꿈꾸고 거짓말을 하고 사기를 치고 범법자가 되고 부도가 난다. 음지식물은 음지에서 자라야 하는데도 너도나도 수도권으로 몰려든다. 물론 더 확산 더 상승하는 丙火나 戊土나 癸水는 도시로 나가면 좋다. 그러나 우리 교육은 더 응축 더 하강하는 壬水나 丁火나 己土도 공부만 좀 하면 서울로 대학을 보내려고 한다. 타고난 자기만의 그릇이 있는 것도 모르고 큰 빌딩이나 큰 차를 성공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에 휩싸인다.
지지 현실을 천간 생각보다 우선해야 한다고 배워야 했다. 큰 꿈만 꾸지 말고 현실을 직시(直視)해야 한다고 배워야 했다. 폭풍이 몰아치면 폭풍에 대비해야 한다. 곧 잠잠해질 것이라고 인간의 생각을 끼워 넣으면 안 된다.
때로는 분수를 지키라는 말도 한다. 그러나 분수를 알아야 분수를 지킬 수 있다. 하루빨리 명리학이 보급되어 자기 그릇에 맞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
乾
□乙壬癸
□巳戌卯
甲乙丙丁戊己庚辛
寅卯辰巳午未申酉
원국은 운에 의해 꼼짝 못 한다. 가을 申酉戌 운이 오면 사람도 동식물도 응축 하강이 일어난다. 겉은 단단해지고 속은 부드러워진다. 반대로 봄철 寅卯辰 운에는 겉은 부드럽고 속은 단단하다.
팔자를 볼 때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것은 나이이다. 나이를 보면 어느 대운을 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대운은 10년씩 큰 걸음으로 움직인다. 대운이 寅卯辰 운이면 봄이 오고 아침이 왔으니 확산 상승이 일어난다. 대운이 巳午未 운이면 여름이 오고 낮이 왔으니 더 확산 더 상승이 일어난다. 대운이 申酉戌 운이면 가을이 오고 저녁이 왔으니 응축 하강이 일어난다. 대운이 亥子丑 운이면 겨울이 오고 저녁이 왔으니 더 응축 더 하강이 일어난다.
원국보다 운이 우선이니 원국의 천간 생각을 버리고 대운의 지지 현실을 따라야 한다. 대운의 지지 환경으로 가야 모든 일을 이룰 수 있다. 한국에서 살면 한국에서 학교 다니고 직업 갖고 짝을 만나고 취미생활을 하게 된다. 대운을 벗어나면 자기 환경에서 벗어나니 어려움이 시작된다. 한국인이 외국으로 이민 가면 환경도 언어도 다른 곳에서 살아가야 하니 불편하고 자연스럽지 못할 것이다. 고향이 아닌 외국에서 사는 것은 불편하다. 집 떠나면 고생이라는 말도 있다. 음지식물이 양지로 가면 고생이다. 대운의 지지를 무시하면 안 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寶書)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五月 癸水
□癸□□
□□午□
五月 癸水 至弱無根 必須庚辛?生身之本 但丁火司權 金難敵火 安能滋養癸水。
午월 癸水는 지극히 약하고 근원이 없으니 午월 癸水는 庚辛金으로 생신(生身)의 근본(根本)을 삼는다. 다만 丁火가 사권(司權)하여 金이 火를 대적하기 힘드니 庚辛金이 癸水를 자양할 수 없다.
해설) 난강망은 壬水와 癸水를 구분하지 못하니 午월의 癸水는 지극히 약하다고 한다. 약하면 庚辛金으로 금생수해야 한다는 말도 한다. 庚金과 辛金도 구분하지 못하고 오행의 상생상극을 아무 곳에나 사용한다. 적재적소(適材適所)를 모른다. 제대로 무게를 잰다고 해도 만일 저울의 눈금이 틀린다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 壬水가 더 응축 더 하강하면 癸水는 더 확산 더 상승하며 水운동은 완성된다. 음양이란 태극에서 보듯이 서로 반대로 운동한다.
午월에 丁火가 사권(司權)한다는 말은 또 무슨 소리인가? 午월에는 丙火가 제왕이고 丁火는 태(胎)가 아닌가? 金이 火를 대적하기 힘들다는 말은 午월은 丁火가 강하니 庚辛金도 힘을 쓰지 못한다는 뜻이다. 물론 전제가 틀렸으므로 그에 근거한 설명도 옳을 리가 없다. 이렇게 눈금이 엉망인 체로 명리학을 공부해 왔으니 몇백 년이 지나도 제대로 된 학문 취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宜見比劫 方得辛金之用。五月癸水 庚辛壬參酌?用可也。
그래서 비겁인 壬水가 있어야 비로소 辛金을 용할 수 있으니, 午월 癸水는 庚辛壬을 참작하여 병용(竝用)함이 마땅하다.
해설) 庚辛金이 약한 癸水를 금생수 하여 돕는다는 말은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 庚辛金도 庚金과 辛金을 구분하지 못해서 나온 표현이다. 한 마디로 난강망은 양간과 음간도 구분하지 못하면서 명리학 고전 대우를 받고 있었다.
午월에 癸水가 약하니 庚辛金으로 도와야 하는데 庚辛金도 火에게 화극금을 당하니 일단 壬水가 있어야 辛金이라도 쓸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오행의 상생상극을 이용한 돌리고 돌리는 수법이다. 癸水가 약하다고 壬水가 癸水를 도울 수 있을까? 壬水와 癸水는 정반대로 운동한다. 일단 壬水와 癸水부터 구분해야 한다.
如庚辛透干 又見壬癸者 定主鍾鼎名家。或有金透 支見申子辰者 亦主金榜掛名。
만일 午월 癸水에 庚辛金이 투간하고 또 壬癸水를 보면 명가(名家)를 이룬다. 金이 투하고 지지에 申子辰을 보면 역시 과거급제 명
| 이전글 | 2023년 10월 15일 일요일(癸卯년 壬戌월 丙午일) |
| 다음글 | 2023년 10월 13일 금요일(癸卯년 壬戌월 甲辰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