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2023년 8월 14일 월요일(癸卯년 庚申월 甲辰일) | ||
| 등록일 | 2024.07.19 | 조회수 | 303 |
2023년 8월 14일 월요일(癸卯년 庚申월 甲辰일)
坤
□甲庚癸
□辰申卯
戊丁丙乙甲癸壬辛
辰卯寅丑子亥戌酉
동양학과 대학원을 졸업하는 후배에게 선물한다고 『다시 쓰는 명리학(이론편)』과 『다시 쓰는 명리학(응용편)』에 사인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저자(著者) 입장에서는 기분 좋은 일이다. 기분 좋은 일은 인성(印星)이다. 인성은 ‘사람 사는 맛’이다. 인성은 ‘비빌 언덕’이기도 하다. 보통 명예 문서 학위 자격증 승진 합격 등으로 해석한다. 모두 ‘흐뭇한 일’이다. 칭찬이나 상을 받는 일도 인성이다. 인성은 받기를 잘한다. 명예 지식 재물 등 받는 일에 능숙하다.
인성은 재물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돈으로 바뀔 수는 있다. 합격증 자격증 땅문서를 들고 물건을 살 수는 없다. 물건을 사려면 재성이 있어야 한다. 재성은 내가 마음대로 쓸 수 있는 대상이다. 내가 마음대로 처분할 수 없다면 재성이 아니다. 책이나 물건이라도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다면 재성이다. 내 주머니에 있는 돈도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세금이나 학비라면 재성이 아니다. 내가 마음대로 쓸 수 있어야 재성이다. 마음대로 쓸 수 없는 재산이나 명예 등은 인성이다. 인성을 재성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인성 운이 오면 명예를 얻을 기회가 된다. 명예시민 명예박사 명예 졸업장 우등상 표창장 모두 인성이다. 재성은 일간이 극하는 글자로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대상이다. 관성은 일간을 극하는 글자로 나를 함부로 대하는 대상이다. 부모나 형제나 친구는 인성이 되었다가 관성이 되었다가 식상이 되었다가 재성이 되었다가 비겁이 되기도 한다. 여자에게 남자는 때로는 인성이 되었다가 관성이 되었다가 식상이 되었다가 재성이 되었다가 비겁이 되기도 한다. 남자에게 여자는 때로는 인성이 되었다가 관성이 되었다가 식상이 되었다가 재성이 되었다가 비겁이 되기도 한다. 남자는 관성, 여자는 재성이 아니다. 남자는 여자를 함부로 대해서는 안 된다. 여자와 남자는 대등하다. 명리학은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이 만든 기준을 따르면 안 된다. 음과 양은 대등하다는 자연의 법을 따라야 한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여자를 재성으로 남자를 관성으로 본 명리학 이론은 어떻게 되는가? 무효(無效)이다. 그러나 세상에는 정품만 있지는 않다. 짝퉁도 항상 함께 존재한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다. 하고 싶은 대로 하면서 살면 된다.
坤
□甲庚癸
□辰申卯
戊丁丙乙甲癸壬辛
辰卯寅丑子亥戌酉
오늘 사주는 칠살격(편관격)이다. 명리 고전에는 편관보다는 칠살이라는 용어를 쓴다. 정관은 관(官)이라고 하고 칠살은 살(殺)이라고 한다. 관살혼잡(官殺混雜)은 정관과 편관이 함께 있을 때 사용한다.
칠살격이니 일간이 스트레스를 받을까? 아니다. 시키면 시키는 대로 명령과 지시에 잘 복종하니 스트레스가 없다. 흔히 법(法) 없이도 산다는 그런 류(流)의 사람이다. 칠살격이라고 모두 관(官)에 종사하는 것은 아니다. 칠살격은 어느 집단에나 있다. 단지 시키면 시키는 대로 법과 질서를 잘 지킨다는 공통점은 있다.
학교 영어 선생을 하다가 훈련소를 마치고 자대 배치를 받았는데 살벌한 유격대였다. 훈련소보다 몇 배 강한 유격대 조교 훈련을 받았다. 유격대 조교 훈련을 받고 휴가를 나오니 사람들이 나보고 변했다고 했다. 야물어졌다고 했다. 환경의 영향이다. 환경이 변하면 모든 것이 변한다. 식물도 어디에 심어졌느냐에 따라 달리 크고, 동물도 어떤 환경에서 누가 키우냐에 따라 달리 자란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같은 팔자라도 환경이 다르면 다른 삶을 산다. 모두 팔자대로 사는 것이 아니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亥월 戊土
十月戊土 時?小陽 陽氣略出 先用甲木 次取丙火。
亥月(10월) 戊土는 때가 소양(小陽)에 자리 잡으니 양기(陽氣)가 약간 출(出)하여 亥월 戊土도 甲木을 먼저 쓰고 다음으로 丙火를 취한다.
해설) 亥월에는 양기(陽氣)가 약간 있어서 戊土가 강해지니 甲木으로 목극토 하고 丙火로 조후(調候)한다고 한다. 엉터리 설명이다. 亥월에는 戊土와 丙火가 절(絶)이다. 난강망 때문에 지금도 겨울에는 丙火를 쓴다는 사람이 많다. 겨울철 亥子丑에서 丙火는 절태양이고, 丁火가 록왕쇠이다. 亥子丑은 어두운 밤이고 추운 겨울이다. 丁火는 어둠을 밝히는 촛불이고 추위를 녹이는 난로이다.
非甲 土不靈。非丙 土不暖 安能生發萬物。
甲木이 아니면 土가 불령(不靈)하고 丙火가 아니면 土가 따스하지 않으니 어찌 만물(萬物)을 생발(生發)하겠는가.
해설) 사람을 헷갈리게 하고 있다. 戊土는 亥월에 절(絶)이고 甲木은 亥월에 장생이다. 亥월에 록왕쇠인 천간은 壬水 丁火 己土이다. 록왕쇠의 천간이 주도권을 잡고 나머지 천간을 이끈다. 봄에는 봄옷을 입어야 하고, 여름에는 여름옷을 입어야 한다. 가을에는 가을옷을 입어야 하고 겨울에는 겨울옷을 입어야 한새로운 12운성 명리학회 | 2023년 8월 14일 월요일(癸卯년 庚申월 甲辰일) - Daum 카페
| 이전글 | 2023년 8월 15일 화요일(癸卯년 庚申월 乙巳일) |
| 다음글 | 2023년 8월 13일 일요일(癸卯년 庚申월 癸卯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