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7월 21일 금요일(癸卯년 己未월 庚辰일)
등록일 2024.07.08 조회수 321

2023721일 금요일(癸卯己未庚辰)

 

庚己癸

辰未卯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삼복(三伏) 더위가 절정이다. 비 온 뒤라 습도가 무척 높다. 잠시만 움직여도 땀이 줄줄 흐른다. 잠을 잘 때도 마찬가지이다. 땀은 어디에서 많이 날까? 머리 쪽일까? 아니면 발 쪽일까?

 

그보다 먼저 땀은 壬水일까 癸水일까? 癸水는 음간으로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속성이 있다. 음간은 보이지 않는다. 땀은 보이던가? 보인다. 흘러내리는 땀은 빗물처럼 壬水이다.

 

내려오려면 올라가야 한다. 하늘에서 비가 오는 것과 이마에서 땀이 흘러내리는 원리는 같다. 올라갔으니까 내려온다. 이마보다는 머리카락 속에서 더 많은 땀이 날 것이다. 단지 머리카락 속에서 나는 땀은 잘 보이지 않을 뿐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보이지 않는다고 없는 것은 아니다. 여름철에 구름이 많고 장마가 지고 습도가 높은 것은 더 확산 더 상승한 癸水 때문이다. 여름철에 수많은 나뭇잎이 시들지 않고 싱싱한 것은 癸水 때문이다.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항상 보이지 않는 음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눈에 보이는 양은 어린아이들도 모두 알 수 있다.

 

지금은 월이므로 쇠()에 이른 丙火癸水가 마지막 발악하고 있다. 양의 기운을 가장 많이 받는 하지보다 한두 달 뒤가 더 덥고, 음의 기운을 가장 많이 받는 동지보다 한두 달 뒤가 더 춥다. 마지막 발악하는 더위와 추위를 조심해야 한다.

 

여름에는 체온 36.5도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의 내부는 차다. 그래서 속을 따뜻하게 해야 한다. 여름철에는 따뜻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

 

오늘은 중복(中伏)이다. 복날은 매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있는 초복, 중복, 말복의 삼복(三伏)을 말한다. 삼복은 24절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 중복은 네 번째 , 말복은 입추가 지나고 첫 번째 일이다. 현재 무더위가 마지막 발악을 하고 있지만 하늘에서는 응축 하강하는 庚金이 활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복날에는 마지막 무더위에 지치지 말고 속이 차니 탕()을 먹으며 잘 견뎌야 한다.

 

庚己癸

辰未卯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일간은 십신을 정하는 기준이다. 중년이 지나고 은퇴 후에는 일간(日干)이 아닌 시간(時干)으로 십신을 따져야 한다. 물론 일간이 저물면서 시간이 떠오르므로 어느 순간 갑자기 일간에서 시간으로 바뀌지 않는다. 일간과 시간 어느 쪽에 비중을 두어야 할지는 그때 상황으로 판단한다. 일간에서 시간으로 넘어가는 과정도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과정처럼 서서히 변하게 된다. 가을이 저물며 겨울이 오듯이 일간(日干)이 저물며 시간(時干)이 온다.

 

연주와 월주는 그대로이지만 매일 일간이 변하니 연간과 월간의 십신도 바뀐다. 십신이나 12운성이나 12신살보다 연간 癸水의 속성과 월간 己土의 속성을 아는 것이 우선이다.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속성을 가진 癸水는 월지 에서 쇠()이다. 더 응축 더 하강하는 속성을 가진 己土는 월지 에서 양()이다. 원국에서 정해진 그릇의 종류와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원국의 모든 글자는 운에 의해서 변해간다. 해바라기는 죽을 때까지 해바라기이지만 계절이 바뀌면 모습이 달라진다. 원국이 해바라기라고 아무 때나 해바라기꽃이 피는 것이 아니다. 노력한다고 꽃이 피지 않는다. 운이 도와주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태어날 대 정해지는 팔자는 죽을 때까지 그대로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 외모나 하는 일이 달라진다. 팔자를 본다는 것은 운의 변화를 보는 일이다. 원국만 쳐다보고 있을 일이 아니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丁火

 

四月 丁火 乘旺 雖取甲引丁 必用庚劈甲伐甲方云木火通明甲多又取庚?先

 

巳月 丁火는 승왕(乘旺)하니, 甲木을 취()해 인정(引丁)해도 반드시 庚金을 용()하여 벽갑(劈甲)해야 한다. 丁火甲木이 있으면 목화통명이 되어 좋은 팔자가 된다. 甲木이 많을 때는 庚金을 취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해설) 丙火가 승왕(乘旺)하다고 하니 처음부터 틀렸다. 丙火丁火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 월에 丙火는 건록이지만 丁火는 절()이다. 처음부터 이렇게 오발탄을 쏘면 나머지 설명은 짜맞추기 잔소리로 전개될 것이다.

 

여기서도 丁火甲木庚金 벽갑인정 노래를 부르고 있다. 월은 丙火가 건록이니 丁火는 절()이다. 巳午未 대낮에 丁火 촛불이나 가로등 등대 등은 잠을 자며 휴식한다. 巳午未에서는 태양 丙火가 록왕쇠로 활동한다.

 

월에 甲木은 병()이다. 봄철 寅卯辰에서 록왕쇠로 활동했던 甲木월에는 일을 줄이며 퇴근 준비를 한다. 목화통명(木火通明)도 오행을 기준으로 했나이스사주명리 | 2023년 7월 21일 금요일(癸卯년 己未월 庚辰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7월 22일 토요일(癸卯년 己未월 辛巳일)
다음글 2023년 7월 20일 목요일(癸卯년 己未월 己卯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