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7월 29일 토요일(癸卯년 己未월 戊子일)
등록일 2024.07.11 조회수 290

2023729일 토요일(癸卯己未戊子)

 

戊己癸

子未卯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초등학교(당시는 국민학교) 다닐 때 한 학급 학생 수가 100명 가까이 되었다. 광주 중심가에 있었던 서석초등학교 학생 수는 7천 명 정도 된다는 소리도 들렸다. 6.25 전쟁 직후 베이비 붐 시기였다.

 

나라에 돈이 좀 생겼는지 분교가 생겼다. 나는 분교로 가야 했다. 분교로 가야 할 학생들을 고르는 기준은 철도였다. 철도 위쪽에 사는 학생은 분교로 가야 했다. 그러나 학생들은 새로 생긴 작은 학교보다는 다니던 큰 학교를 계속 다니고 싶은 심리가 있었다. 분교로 가기 싫다는 꿈을 꾼 적도 있다.

 

그러나 약한 힘은 강한 힘에게 꼼짝 못 한다. 이때 팔자를 본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나는 지지 현실이 철도 위쪽에 살았기 때문에 광주 동산초등학교로 옮겨져서 1회 졸업생이 되었다. 강한 힘에게 개인의 미약한 힘은 어쩔 수가 없었다.

 

자연의 법에서는 강자가 무조건 약자를 이긴다. 강자가 되기 위해 부귀(富貴)를 키우려고 몸부림을 친다. 태어날 때 정해진 부귀의 크기는 키울 수가 없다. 해바라기와 채송화는 태어날 때 정해져서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부귀를 바꿔보려는 헛된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타고난 팔자의 분수를 어기고 무리하다가 병원이나 감옥 신세를 지는 사람도 있다. 타고난 그릇의 종류와 크기를 지키면서 마음 편하게 사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다. 마음 편하게 사는 것이 행복이다.

 

戊己癸

子未卯

 

丁丙乙甲癸壬辛庚

卯寅丑子亥戌酉申

 

일간이 戊土가 되니 월간 己土는 겁재가 되었다. 겁재가 있으니 재성을 겁탈당할까? 천만의 말씀이다. 겁재가 있는 팔자는 승부욕이나 도전심이나 오기(傲氣)가 강하다. 그러나 겁재가 있다고 무조건 겁재의 현상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운에 의해 팔자 원국의 글자들은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을 자기 때문이다.

 

팔자 원국은 태어날 때 정해져서 죽을 때까지 변하지 않는 정적(靜的)인 상태이다. 바람이 불어야 나무가 흔들린다. 마찬가지로 팔자 원국을 흔드는 것은 운이다. 변하지 않는 원국만 쳐다보면 안 된다. 亥子丑 운이 오면 겁재 己土는 록왕쇠가 된다. 록왕쇠는 매우 바빠지는 운이다. 亥子丑 운에는 일간 戊土보다 경쟁자인 己土가 인기가 많아지고 일이 많아진다. 겁재 己土가 록왕쇠이면 일간 戊土는 절태양이 된다. 戊土는 절태양 운에 조용히 있어야 하지만 겁재 승부욕을 타고났기에 오기를 부리다가 실패할 수 있다. 그리고 팔자 탓을 한다. 절태양 운에는 없는 듯이 조용히 충전 휴식하면 좋다.

 

일간 戊土亥子丑에서 절태양이다. 己土가 대들 때 피하는 것이 상책(上策)이다. 그러나 조그마한 己土가 커다란 戊土에게 대드는 데 참고 조용히 지나갈 수 있을까? 그래도 참고 있어야 한다. 절태양의 시기에는 잠을 자듯이 장롱 속에 있어야 한다. 亥子丑己土가 록왕쇠로 활동하는 시기이다. 절태양인 戊土는 휴식 충전하며 참고 때를 기다려야 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삼동(三冬) 丁火-2

 

□□

□□

 

或一丙奪丁 必賴支內水救若有支金發水之源 官拜烏台有准

 

혹 하나의 丙火가 있어 丁火의 빛을 빼앗으면 지지(地支)에 힘입어 구제(救濟)된다. 만약 이때 지지에 발수(發水)의 근원이 되는 이 있으면 벼슬이 오태(烏台)에 임명되는 경우가 많다.

 

해설) 웃기는 설명이다. 겨울철 丙火는 절태양이다. 어떻게 절태양의 丙火가 록왕쇠의 丁火의 빛을 빼앗는다는 말인가? 그러나 만일 지지에 가 있다거나 발수(發水)의 근원인 이 있으면 구제된다고 한다. 다시 오행 기준으로 돌아갔다. 현재 사는 모습을 보고 팔자에 맞추려고 하니 이런 설명을 하게 된다. 오태(烏台)는 검경이나 감사원에 해당하는 벼슬이다.

 

全無癸水制丙 無用之徒或有金無水 貧寒之士有水無金 又主?高

 

癸水丙火를 제()함이 전혀 없으면 무용지물(無用之物)이다. 은 있는데 가 없으면 빈한(貧寒)한 선비다. 는 있으나 이 없으면 청고하다.

 

해설) 겨울철에 癸水丙火를 제()한다고? 그냥 수극화만 생각하고 있다. 겨울철 亥子丑에서는 癸水丙火가 절태양이다. 겨울철 亥子丑에서는 壬水丁火己土가 록왕쇠로 왕성한 활동을 한다. 은 있는데 가 없으면 빈한하고, 는 있는데 이 없으면 청고하다는 말은 오행 기준이고 뜬구름 잡는 설명이다. 겨울에 가 약하다느니 여름에 가 약하다느니 하는 말도 마찬가지이다. 일단 천간과 지지 중심의 공부가 되어야 한다. 저울이나 자의 눈금을 다듬고 난 후 실전(實戰)에 나서야 한다.

 

或時月二壬爭合 取戊破之有戊稍有富貴無戊常人設戊藏得所 不失衣衿새로운 12운성 명리학회 | 2023년 7월 29일 토요일(癸卯년 己未월 戊子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7월 30일 일요일(癸卯년 己未월 己丑일)
다음글 2023년 7월 28일 금요일(癸卯년 己未월 丁亥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