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2023년 7월 3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壬戌일) | ||
| 등록일 | 2024.06.29 | 조회수 | 317 |
2023년 7월 3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壬戌일)
坤
□壬戊癸
□戌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매달 1일이 되면 몇 년째 카톡 인사를 보내신 분이 계신다. 수염도 길으시고 나이가 지금은 70대 중반쯤 되지 않으셨는지... 외모는 도사 같이 생기셨는데 마음은 순수하신 듯하다. 명리를 공부하면서 알았던 분의 친구분이다. 인천에서 모임이 있을 때 함께 오셔서 같이 식사했었다. 당시에는 춘천 전원에 사신다고 했는데 지금은 잘 모르겠다. 그 후 장례식 때 한 번 더 뵈었으니 두 번 뵌 것이 전부이다. 엊그제 7월 1일에도 어김없이 인사말이 날아왔다. 형식적인 답변에도 다시 정성스레 답을 해주신다. 혹시 이 글을 보신다면 마음에서 우러난 인사를 전하고 싶다. 인연이 되면 언제인지 모르지만 뵐 수 있을 것이다.
명리학 공부를 할 때 큰 장애물 중의 하나가 글자에 집착하는 것이다. 어디 명리 공부뿐이겠는가? 과거 영어를 가르칠 때도 학생들에게 자주 말했었다. “글을 읽을 때는 행간을 읽어야 한다고...” “문제를 풀 때는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고...” 보이지 않는 음을 읽어야 한다.
불립문자(不立文字). 문자에 집착하면 안 된다. 명리학에서도 천간과 지지가 나타내고자 하는 자연의 변화를 읽어야 한다. 세상 모든 일이 마찬가지이다. 방송이나 신문이 말하는 것을 그대로 믿으면 하수(下手)이다.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숨은 의도를 파악해야 한다. 오늘의 60갑자도 마찬가지이다.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읽어내야 한다. 영화나 연극 드라마 노래 등도 감독이나 작곡 작사가나 연출가들이 보여주고 싶어 하는 숨은 의도를 읽어야 한다. 그래야 고수(高手)가 된다. 모든 종교 서적, 모든 철학 서적, 책방의 모든 책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이고, 수백 개의 방송을 시청하고, 수천 가지 신문 잡지 등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음양오행, 천간 지지, 12운성이나 12신살, 십신, 그리고 잡다한 형충파해나 신살 등을 볼 때도 잊지 말아야 한다. 문자에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하수에서 고수로 나아갈 수 있다. 글자에 집착해서 글자 풀이나 하는 책이나 선생이 있다면 하루빨리 벗어나는 게 좋다.
坤
□壬戊癸
□戌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하루가 지나 壬戌 일주가 되었다. 어제와 오늘은 비슷한 것 같지만 같을 리가 없다. 하루하루 지나다 보면 봄은 여름이 되고 여름은 가을이 된다. 달력을 매일 보면 하루 한 발씩 움직이는 시간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원국은 편관격이다. 연간 癸水도 월지와 연지에서 제왕 중 목욕이니 만만치 않은 힘이 있다. 그러나 제왕 중 제왕인 월간 戊土보다는 약하다. 크다고 좋고 작다고 나쁜 것은 아니다. 음양 법칙에 따라 좋은 만큼 나쁜 점도 있다. 빛이 강하면 그림자도 진해진다. 높이 올라가면 그만큼 내려와야 한다.
운의 변화란 계절이 바뀌면 변하는 옷차림과 같다. 팔자를 본다는 것은 변하는 운을 보는 것이다. 운의 흐름을 파악하여 무슨 옷을 입을지를 미리 알기 위해 명리학 공부를 한다. 아직도 팔자 원국만 쳐다보는 사람들이 많다. 난강망도 그렇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寅월 丙火-1
□丙□□
□□寅□
正月丙火 三陽開泰 火氣漸炎 取壬?尊 庚金佐之。壬庚兩透 科甲定然。?壬透庚藏 亦有異途顯達。
寅월 丙火는 삼양(三陽)이 열려 커질 때니 화기(火氣)가 점차 타오르므로 먼저 壬水를 취하고 庚金으로 보좌하면 좋다. 寅월의 丙火는 壬庚이 모두 투출(透出)하면 과거급제는 틀림없다. 혹시 壬水가 투출하고 庚金이 암장되면 이도로 이름을 세상에 날린다.
해설) 난강망은 사시사철 丙火가 壬水를 보면 좋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壬水도 丙火를 보면 좋다고 할 것이다. 子에서 시작한 일양(一陽)은 寅월에 삼양(三陽)에 이른다. 양의 기운이 강해지니 壬水를 취하고 庚金으로 금생수 해주면 좋다고 한다. 寅월 丙火에 壬水와 庚金이 투출하면 과거급제는 틀림없다고 한다. 壬水가 투출하고 庚金은 지장간에 있으면 이도(異途)로 이름을 날린다고 한다. 어떻게 팔자에 있는 몇 글자로 이렇게 단정할 수 있을까? 대단한 용기이다. 寅월에는 甲木과 辛金이 록왕쇠이다. 壬水는 寅에서 병(病)이고 庚金은 절(絶)이다.
음과 양을 대등하게 여기지 않는 사회는 활력과 생명력을 잃고 균형을 잃어 항상 혼탁하고 시끄럽다. 자연의 법칙이 어긋나기 때문이다. 기득권을 가진 양이 음을 대등하게 여길 리가 없다. 명리학을 배운 사람이 음과 양은 대등하다는 자연의 법을 실천해야 한다.
若一庚高透 支藏一二丙火 納粟奏名 主?人慷慨英雄 有才邁?。
만일 庚金이 투하고 한두 개의 丙火가 암장되면 재물을 바치고 공명을 얻는 납속주명이다. 이런 사람은 강개심이 있는 영웅으로 재능이 뛰어나다.
해설) 寅월 丙火에 庚金이 투하고 丙火가 암장되면 납속주명 팔자라고 한다. 납속주명은 곡물을 받치고 귀(貴)를 취하는 팔자를 말한다. 이런 사람은 강개심 있는 영웅이라고 한다.
팔자 원국에서 그릇의 종류와 크기가 정해진다. 지지가 천간을 통제하고 운이 팔자 원국을 통제한다. 난강망은 팔자 원국의 천간 몇 글자로 삶을 단정하고 있다.
或一派庚辛混雜 常人。得時月兩透庚金、無辛者 定主?貴。
혹 한 무리의 庚辛金이 혼잡(混雜)하면 평범하다.나이스사주명리 | 2023년 7월 3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壬戌일) - Daum 카페
| 이전글 | 2023년 7월 4일 화요일(癸卯년 戊午월 癸亥일) |
| 다음글 | 2023년 7월2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辛酉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