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7월 4일 화요일(癸卯년 戊午월 癸亥일)
등록일 2024.07.01 조회수 323

202374일 화요일(癸卯戊午癸亥)

 

癸戊癸

亥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사주팔자로 모든 일을 알 수 있다는 듯이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심지어는 거창하게 국운(國運)을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그렇게 일반인을 현혹(眩惑)시키면 안 된다. 그래서 명리학이 미신(迷信) 취급을 받는다. 사주팔자는 오로지 나에 관한 내용으로 한정해야 한다. 사주팔자는 태어날 때 생년월시로 정해지는 나의 시간표이다. 내 사주팔자로 부모도 알 수 없고 내 사주팔자로 자식도 알 수 없다. 부모도 그들의 사주팔자가 있고, 자식도 그들의 사주팔자가 있다. 그런데도 내 사주팔자 하나로 주변 사람도 알 수 있는 듯이 말하는 사람이 있다. 사주첩경(四柱捷徑)은 심지어 숙부 외삼촌까지 언급한다. 결과를 보고 사주에 맞추려고 하다 보니 그런 별의별 일을 시도한다.

 

강한 힘이 약한 힘을 이긴다. 자연의 법칙이다. 부모는 젊었을 때는 어린아이를 이긴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 자식들의 힘이 부모보다 더 강해진다. 세월의 흐름에 따라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명리학은 나()를 아는 학문이다. 세월이 흘러가면서 나의 모습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학문이 명리학이다.

 

관성은 일간을 극하는 대상이고, 재성은 일간이 극하는 대상이다. 식상은 내가 주는 대상이고 인성은 내가 받는 대상이다. 정신적이든 물질적이든 모두 해당한다.

 

다음 팔자에서 식신을 살펴보자. 식신이라고 모두 같은 속성이 아니다.

 

甲丙

□□□□

甲木은 확산 상승의 속성이 있다.

丙火는 더 확산 더 상승의 속성이 있다.

甲木丙火 식신을 보면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일을 하려고 한다.

천간은 생각일 뿐이다.

지지와 운의 흐름을 보면서 식신 활동을 설명해야 한다.

 

乙丁

□□□□

乙木은 응축 하강하는 속성이 있다.

丁火는 더 응축 더 하강하는 속성이 있다.

乙木丁火 식신을 보면 더 응축 더 하강하는 일을 하고 싶어한다.

천간은 생각일 뿐이다.

지지와 운의 흐름을 보면서 식신 활동을 정해야 한다.

 

癸戊癸

亥午卯

 

丙乙甲癸壬辛庚己

寅丑子亥戌酉申未

 

원국에서 타고난 그릇의 종류와 크기를 알 수 있다. 일간은 십신을 정하는 기준이다. 연간은 비견이다. 癸水를 비견으로 쓰고 있다. 癸水는 음간으로 더 확산 더 상승하는 속성이 있다. 음간은 힘이 강해지면 더 안으로 더 깊이 들어가니 보이지 않는다. 깊은 곳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주로 두뇌를 쓰는 일이다. 월간 戊土는 정관이다. 더 확산 더 상승하는 戊土를 정관으로 쓰고 있다.

 

연간 癸水는 월지와 연지에서 제왕 중 목욕이다. 월간 戊土는 제왕 중 제왕이다. 그리고 일간 癸水의 크기는 월지와 일지에서 제왕 중 절()이다. 일간 癸水의 종류도 72가지이다. 일간 종류가 운을 고려하지 않고도 월지와 일지로만 72가지가 된다. 앞으로는 일간만 가지고 아는 척하지 말자.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丙火-2

 

或見一戊制壬 反而富貴 宜見一二比肩方妙

 

戊土가 많은 壬水를 제()하면 오히려 부귀하고 이때는 한두 개의 비견을 보면 좋아진다.

 

해설) 난강망은 가 많으면 무조건 戊土로 토극수하라고 한다. 壬水가 많을 때 戊土가 토극수 해주면 좋고, 이때 약한 일간을 도와주는 한두 개 비견이 있으면 좋다고 한다. 한때 유행했던 억부용신과 같은 논리이다. 억부용신 논리도 오행과 지장간에 근거를 두고 있으므로 설득력이 떨어져 사라지고 있다.

 

或一片戊土 甲不出干 終非大器 且恐孤貧正月之丙 忌戊晦光

 

丙火의 사주에 戊土만 있고 甲木이 없으면 큰 그릇은 되지 못하고 외롭고 가난하다. 丙火戊土丙火의 빛을 어둡게 하는 것을 꺼린다.

 

해설) 丙火戊土가 있고 甲木이 없으면 큰 그릇이 되지 못하고 외롭고 가난하다고 한다. 丙火戊土가 화생토로 빛을 흐리게 하니 좋지 않다고 한다. 한 마디로 丙火壬水는 좋고 戊土는 좋지 않다는 식이다.

 

오행의 상생상극은 십신 정할 때만 사용해야 한다. 월에 甲木은 건록이고 월에 丙火戊土는 장생이다. 각 지지에서 각 천간은 자기 역할만 충실히 한다. 천간이나 지지나 각 글자는 다른 글자를 생해주거나 극하지 않는다. 그냥 독자적으로 존재하며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자는 일을 할 뿐이다.

 

或支成火局 ?取壬水?貴無壬癸亦姑用若壬癸俱無 取戊以洩火氣 但屬平人

 

丙火의 지지에 화국이 있을 때는 壬水를 취해야 귀()를 이룬다. 壬水가 없으면 癸水라도 있어야 한다. 화국을 이룰 때 壬癸水를 모두 갖추지 못하면 戊土를 취하여 화기(火氣)를 설기(洩氣)해도 평상인에 불과하다.

 

해설) 丙火가 화국을 이루면 壬水를 취해야 하고 壬水가 없으면 癸水라도 써야 한다고 말한다. 화국이 있을 때 壬癸水가 모두 없으면 戊土로 화생토 해서 의 힘을 설기해도 평상인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월에는 화국이 있을 수 없다. 기본이 중요하다. 저울의 눈금을 정확하게 다듬어야 한다. 삽합을 외워 寅午戌을 생각했을 수 있새로운 12운성 명리학회 | 2023년 7월 4일 화요일(癸卯년 戊午월 癸亥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7월 5일 수요일(癸卯년 戊午월 甲子일)
다음글 2023년 7월 3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壬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