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3년 7월 12일 수요일(癸卯년 己未월 辛未일)
등록일 2024.07.04 조회수 296

2023712일 수요일(癸卯己未辛未)

 

辛己癸

未未卯

 

辛壬癸甲乙丙丁戊

亥子丑寅卯辰巳午

 

천간과 지지와의 관계인 새로운 12운성, 지지끼리 관계인 새로운 12신살, 천간끼리 관계인 십신에 대한 재해석으로 대표되는 명리학의 새로운 이론이 퍼져나가고 있다. 명리학을 처음 배운 사람들은 어차피 기존 명리학이나 새로운 이론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한다. 새것인지 헌것인지 구분하지 못하니 새것을 배웠다가 다시 옛날 이론을 찾기도 하고 그냥 고생해서 배운 옛날 것이 편하다고 그대로 머무르기도 한다. 각자 그릇의 종류와 크기가 다르니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난다. 옳고 그름을 따질 일이 아니다.

 

같은 업종이라도 다양한 그릇의 크기가 존재한다. 피아노를 전공하고 유학하고 박사를 따고 국제 콩쿨에서 입상했을지라도 대학에서 자리 잡지 못하고 떠도는 사람이 있다. 반면 피아노를 전공하지 않고도 동네 음악학원을 차려 잘 먹고 잘사는 사람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그릇이 크고 높으면 외롭고 고독하다. 반면 그릇이 작고 낮으면 희로애락(喜怒哀樂)을 즐기며 산다. 격의 고저는 옳고 그름이 아닌 그릇의 차이다. 그릇의 종류와 크기가 다르니 열심히 성실하게 자기의 길을 가면 된다. 친구 따라서 강남 가면 안 되고 자기의 길을 가야 한다. 남의 삶에 간섭하지도 말고 간섭받지도 말아야 한다.

 

대구의 한 회원님이 동영상 강의를 정리한 소책자를 보내왔다. 이따금 강의를 노트로 정리한 분들은 본 적이 있었다. 수업 내용은 물론 사주풀이까지 꼼꼼하게 적고 개인의 의견을 첨가하였다. 수업을 들으며 내용을 정리하고 다시 컴으로 옮기고, 교정을 보아 출력하고... 내가 많이 해 보았던 과정이다.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는지 첨삭을 부탁한다는 내용이다. 워낙 잡다한 일들이 많아서 시간이 날지는 모르겠다.

 

기존 명리학 이론에서 답을 찾지 못하고 의문을 품은 사람들이 점점 새로운 명리학 이론으로 갈아타고 있다. 핵심 세력은 새로운 12운성 명리 학회회원들이다. 앞으로 더욱 발전된 명리학 이론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다. 컴퓨터가 있고 인공지능(ai)이 있어서 곧 옳고 그름이 현실로 드러날 것이다. 아직도 몇백 년 된 중국 고서(古書)를 신주(神主) 모시듯이 하고 있으면 안 된다. 왜 명리학을 배우는지 목적을 잃으면 안 된다. 무조건 열심히 하면 바보이다. 내가 가는 목표를 잃지 말아야 한다. 명리학을 공부하는 큰 목표는 행복 추구이다. 작은 목표는 사주팔자를 통해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지 배우는 일이다.

 

여름이라도 초반은 봄과 섞인 여름이고, 후반은 가을과 섞인 여름이다. 여름이라고 다 같은 여름이 아니다. ()도 월()도 일()도 시()도 모두 마찬가지이다. 어느 날 갑자기 변하는 것이 아니다. 글자를 보고 점진적인 자연의 변화를 읽어야 한다. 글자에 집착하면 안 된다.

 

辛己癸

未未卯

 

辛壬癸甲乙丙丁戊

亥子丑寅卯辰巳午

 

일간이 辛金이다. 辛金은 음간으로 확산 상승하는 속성이 있다. 辛金甲木과 동전의 앞뒷면처럼 짝을 이루어 함께 다닌다. 일간 辛金은 월지와 일지에서 묘() 중 묘()이다. 병사묘(病死墓)는 퇴근하는 것과 같은 시기이니 일을 줄여야 한다. 외형을 키우거나 늘리는 일은 삼가야 한다. 병사묘라는 한자(漢字)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는 일을 마치고 귀가하는 시기와 같다. 변화가 일어나는 때이다.

 

원국에서 12신살은 월지가 장성살이다. 월지는 팔자의 본부이기 때문이다. 사령부라는 뜻으로 월령(月令)이라고도 한다. 월지 가 장성살이니 연지 는 화개살이고, 일지 는 장성살이다. 원국에서만 보면 연간 癸水는 화개살 위에 앉아 있고, 일간 辛金은 장성살 위에 앉아 있다. 12운성으로 따지면 연간 癸水는 월지와 연지에서 쇠() 중 목욕이고, 일간 辛金은 월지와 일지에서 묘() 중 묘()이다. 12신살은 지지끼리 관계이고 12운성은 천간과 지지와 관계이니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申月 丙火

 

□□

□□

 

七月 丙火 太陽轉西 陽氣衰矣日近西山 見土皆晦 惟日照湖海 暮夜光天 故仍用壬水 輔映光輝

 

丙火는 태양이 서쪽으로 넘어가는 때로 양기(陽氣)가 쇠()해진다. 해가 서산(西山)에 가까우니 丙火를 보면 어두워지는데 丙火壬水를 보면 태양이 호수와 바다를 비추고, 어두워진 밤하늘이 빛나게 된다. 丙火壬水를 거듭 보면 광휘(光輝)가 빛난다.

 

해설) 난강망은 가을이 되어도 오로지 丙火에는 壬水가 좋다고 한다. 태양이 서쪽으로 질 때 를 보면 화생토로 어두워지는데 壬水를 보면 광휘가 빛난다고 한다. 저녁 석양(夕陽)을 말하고 있다. 명리학은 자연의 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개인적인 감정 추측 상상 경험 등을 말해서는 안 된다. 누군가에게 석양은 아름답겠지만 바다에서 아이를 잃은 부모의 마음은 다르다.

 

丙火에서 병()이고, 壬水에서 장생이다. 천간은 지지 현실에 따라 상황이 바뀐다. 하늘의 태양도 시간과 공간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丙火라고 항상 밝게 빛나고만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丙火도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을 자야 한다. 丙火申酉戌에서 빛을 잃어가고 반면 壬水申酉戌에서 점차 힘을 얻을 것이다. 丙火에게는 壬水가 좋고, 壬水에게는 丙火가 좋나이스사주명리 | 2023년 7월 12일 수요일(癸卯년 己未월 辛未일) - Daum 카페

글 정보
이전글 2023년 7월 13일 목요일(癸卯년 己未월 壬申일)
다음글 2023년 7월 11일 화요일(癸卯년 己未월 庚午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