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 2023년 7월2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辛酉일) | ||
| 등록일 | 2024.06.28 | 조회수 | 248 |
2023년 7월2일 일요일(癸卯년 戊午월 辛酉일)
乾
□辛戊癸
□酉午卯
庚辛壬癸甲乙丙丁
戌亥子丑寅卯辰巳
30대 후반의 여자분을 상담한 적 있다. 사무실 근처에 살아서 직접 방문 상담하였다. 아이들 둘을 가진 엄마이면서 직장인이었다. 대학원에서 공부를 계속하고 싶은데 현실적인 장애물이 만만치가 않다고 했다. 두 아이들 문제도 그렇고 남편이나 시가(媤家)의 반대도 심하고... 이러한 반대를 무릅쓰고 직장에 다니면서 대학원 공부가 가능할지 물었다. 대학원 진학에 대한 의지는 분명하고 확고했다.
이렇게 선택의 갈림길에 있을 때 명리학은 도움을 준다. 천간의 인성이 운의 지지에서 힘을 받고 있었다. 운이 왔을 때 살려야 한다. 질문의 초점은 대학원 진학이다. 질문하지 않은 말을 설명하며 횡설수설하면 안 된다. 질문자는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 좋은 운을 만났으니 긍정적으로 답을 할 수 있다.
“주변 환경이 힘들더라도 가는 게 좋겠다. 5~6년 지나서 학위를 받았다고 해보자. 학위를 받은 후 지금 반대하던 남편이나 시집 식구들은 뭐라고 할까? 아이들은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은 엄마를 뭐라고 할까? 주변 친구들 직장 동료들은 뭐라고 할까?” 생각해 보자고 했다. 답은 나왔다. 힘들어도 하고 싶은 일을 하는 편이 좋다. 주변의 말은 바둑의 훈수와 같다. 책임을 지지 않는다. 모든 결정은 스스로 하고 책임져야 한다. 남 핑계를 대면 안 된다. 자기 의견을 지지해 주는 답변을 얻어서인지 자신감을 얻는 표정이었다.
사주 상담은 운 중심이어야 한다. 팔자 원국만 쳐다보고 있으면 안 된다. 봄철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단풍을 볼 수 없다. 가을철에는 아무리 노력해도 벚꽃을 볼 수 없다. 운이 오지 않았을 때 노력하는 사람은 헛고생만 한다. 모든 노력은 허사(虛事)가 된다.
운이 왔다고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운이 왔을 때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벚꽃이나 단풍 철이 왔어도 집에만 있으면 벚꽃이나 단풍을 볼 수 없다. 차를 타고 돈을 들여가며 직접 나서야 한다. 아무리 운이 좋아도 아무 노력도 하지 않는 사람에게 행운이 올 리가 없다. 운이 왔을 때 노력해야 한다.
운이 오지 않은 사람은 없다. 누구에게나 봄 여름 가을 겨울은 온다. 봄에는 벚꽃 구경 가고, 여름에는 해수욕장 가고, 가을에는 단풍 구경 가고, 겨울에는 눈썰매를 타면 운을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세상에는 봄에 단풍 구경 가려고 하고, 여름에 눈썰매를 타려는 사람들이 있다. 운을 파악하지 못하고 헛된 노력을하면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한다. 천간 생각을 버리고 지지 현실을 따르면 운은 사람을 배신하지 않는다.
乾
□辛戊癸
□酉午卯
庚辛壬癸甲乙丙丁
戌亥子丑寅卯辰巳
일주가 辛酉이다. 辛金은 酉에서 강할까? 乙木은 卯에서 강할까? 오행 기준으로 공부한 사람은 무척 강하다고 할 것이다. 일단 강하다고 해 놓고 나머지 설명은 두들겨 맞추려고 한다. 본질에서 벗어나면 말이 많아진다. 자연의 법은 간단명료(簡單明瞭)하다. 卯에서는 甲木이 제왕이고 乙木은 태(胎)다. 酉에서는 庚金이 제왕이고 辛金은 태(胎)다. 가장 기본적인 음양이 구분이 안 되는 사람이 많다.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오늘의 사주는 월간 정인 戊土가 월지에서 제왕이니 정인격(인수격)이다. 격은 팔자에서 가장 강한 세력을 말한다. 명리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누구나 이 사주는 정인격이라고 답해야 한다. 오답을 써놓고 변명하거나 둘러 붙이면 안 된다. 개인적인 생각을 용납하면 학문이 아니다. 학문은 과학적으로 검증되어야 한다.
****
적천수 자평진전 난강망 등 명리학 3대 보서라는 책을 새로운 명리학 이론에 근거해서 재해석해 본다.
****
삼춘 丙火총론
□丙□□
□□春□
三春丙火秉象至威 陽回大地 侮雪欺霜
삼춘(三春) 丙火는 형상을 쥐고 지극히 위엄이 있다. 양(陽)이 대지로 돌아와 눈과 서리를 업신여기는 경향이 있다.
해설) 삼춘(三春)은 寅卯辰을 말한다. 寅卯辰에서는 확산 상승 운동이 일어난다. 밖에서는 甲木이 안에서는 辛金이 주도권을 잡는다. 나머지 천간들은 주도권을 잡은 甲木과 辛金에게 복종해야 한다.
원문은 봄철에 丙火가 위엄이 있어서 눈과 서리를 업신여긴다고 한다. 그래서 壬水를 쓰면 하늘은 화평하고 땅은 윤택해서 균형의 공을 이룬다고 설명한다. 봄철에 눈과 서리가 녹는 이유는 확산 상승하는 기운 때문이다. 甲木과 辛金이 寅卯辰에서 록왕쇠로 주도권을 잡는다.
?用壬水?扶陽 名曰天和地潤 ?濟功成。
오직 壬水를 사용하여 부양하면 하늘은 화평(和平)하고 땅은 윤택(潤澤)하게 되어 음양(陰陽)이 균형을 이루니 기제(旣濟)의 공(功)을 이룬다.
해설) 寅卯辰에서 丙火는 생욕대이고, 壬水는 병사묘이다. 생욕대는 출근해서 일을 시작하는 시기이고, 병사묘는 일을 마무리하며 퇴근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자연은 때가 되어 자기 할 일을 할 뿐이지 어느 것이 다른 것을 업신여기지 않는다. 봄철에는 퇴근하는 壬水보다는 생욕대로 출근하는 癸水를 써야 좋다. 봄철에 더 응축 더 하강하는 편관 壬水를 쓰면 성장에 장애가 있을 것이다.
正月用壬 庚辛?助。二月?用壬水。
寅월 丙火는 壬水를 용하고 庚辛金으로 보좌한다. 卯月에는 오직 壬水를 용(用)한다.
해설) 寅월 丙火에는 壬水가 필요하니 庚辛金으로 금생수하면 좋다고 한다. 난강망은 丙火는 양이고 壬水는 음이니 서로 조화를 이룬다고 생각하니 卯월에는 오직 壬水를 사용한다고 한다. 또 金이
| 이전글 | 2023년 7월 3일 월요일(癸卯년 戊午월 壬戌일) |
| 다음글 | 2023년 7월 1일 토요일(癸卯년 戊午월 庚申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