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 보기

학습자료실

글 정보
제  목 2025년 2월 23일 日요일(乙巳년 戊寅월 癸亥일)
등록일 2025.02.24 조회수 391

2025223요일(乙巳戊寅癸亥)

 

丙癸戊乙

辰亥寅巳

 

丙乙甲癸壬辛庚己

戌酉申未午巳辰卯

 

동방대 명리학 전문가과정과 신설동 프로술사 사주풀이반에서는 사주풀이 중심 수업을 한다. 매시간 칠판에 적어지는 사주와 질문을 보면 정말 다양하다. 살면서 겪는 다양한 일들이 질문으로 올라온다. 중요한 점은 질문에 답할 때 십신 중 무엇을 적용해야 할지 결정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십신에 대한 이해를 분명히 해두어야겠다. 십신 이전에 음양이나 천간 지지에 대한 확실한 정리는 너무도 당연하다. 이런 내용들이 기초(基礎)이다.

 

기존 명리학 이론에서 보면 집을 살 때와 팔 때를 구분하지 않고 인성(印星)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살 때와 팔 때가 같은가? 또 언제 결혼할지를 묻는 내용이나 진로 적성에 관한 내용도 자주 등장한다. 세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들이 사주 상담 주제가 될 수 있다. 상담 내용마다 어떻게 일일이 대처하겠는가? 눈금이 정확한 기준을 정해야 한다. 그렇다면 정확한 기준을 정하는 일이 시급하다. 명리학 이론을 제대로 공부해야 한다.

 

보통 초중고는 물론 대학에서 이론 공부를 하고 사회에 뛰어든다. 그런데 명리학은 대부분 입문하자마자 사주풀이에 나선다. 그러다 보니 재성(財星)은 재물이고, 관성(官星)은 관()의 일이고, 인성(印星)은 문서 일이고, 식상(食傷)은 먹는 일이고, 비겁(比劫)은 동료에 관한 일이라고 한자(漢字) 해석에 급급하다. 손가락이 가리키는 달을 보지 못하고 손가락만 쳐다보는 꼴이다.

 

기초(基礎)가 부실한 상태에서는 모든 노력이 수포(水泡)가 될 가능성이 크다. 명리학을 510년 공부해도 뭔가 자신감이 생기지 않는 이유가 그 때문일 것이다. 그럴수록 다시 한번 음양(陰陽)부터 점검해 봐야 한다. 기초는 다듬고 다듬을수록 좋다. 톱이나 칼의 날은 다듬을수록 좋다. 일한 만큼 더 높은 탑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부 시간에 비례해서 실력이 늘어나야 한다. 기초가 튼튼할 때만 가능한 일이다.

丙癸戊乙

辰亥寅巳

 

丙乙甲癸壬辛庚己

戌酉申未午巳辰卯

 

오늘 사주는 일간이 癸水이다. 일간은 십신을 정하는 기준이다. 일간을 기준으로 오행의 상생상극을 적용하여 십신을 정한다. 십신은 천간끼리 정한다. 천간과 지지로 정하지 않는다. 오행의 상생상극이 동원되기 때문이다. 천간은 오행 운동을 하지만 지지는 사계절 운동을 한다. 지지에 오행 운동을 적용하는 사람도 있고, 십신을 천간과 지지로 정하기도 한다. 그런 만세력 앱도 수두룩하다. 모두 기초를 소홀히 한 결과이다. 출발부터 이렇게 되면 어떻게 될까? 나는 영어교육을 전공하고 4년 후 졸업을 하니 국가에서 전문가로 인정해 주어 졸업과 동시 중고등학교로 발령을 받고 영어를 가르쳤다. 그런데 명리학은 하루 10여 시간 이상씩 10~15년 이상 공부해도 자신감이 생기질 않았다. 이 기간에 모르면서 열심히 강의도 했고, 모르면서 책을 쓰기도 했다.

 

오늘의 일간은 癸水이다. 壬水癸水를 구분하지 못하고 대충 오행으로 넘어가기 일쑤다. 여름에는 가 말라비틀어진다고 한다. 그러나 사시사철 는 존재한다. 물론 壬水癸水도 함께 존재한다. 단지 출근해서 일하고 퇴근해서 잠자는 모습만 다를 뿐이다. 壬水癸水를 구분하지 못하고 오행으로 대충 라고 하면서 넘어가는 것은 음양을 모른다는 의미이다. 역시 기초 부실로 후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첫 단추가 잘못 끼워졌기 때문이다.

 

과거 수업용 교재로 낸 책 제목이 첫 단추를 제대로 끼워야...” 였다. 물론 아무리 해도 답이 없었던 시절에 기존 명리를 수업하면서 정리한 초급 수준의 책이다. 지금 보면 낯 뜨거울 정도로 창피한 책 내용이다. 첫 단추를 제대로 끼워야 한다고 하면서도 음양과 천간 지지를 구분하지 못했던 기존 명리 체계를 그대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0년 이전에 나온 수업용 교재이다. 혹시 가지고 있는 분이라면 폐기하심이 좋겠다. ㅎㅎ

 

壬水亥子丑에서 록왕쇠로 활동한다. 음양의 원리에 따라 癸水巳午未에서 록왕쇠로 활동한다. 양간은 안에서 밖으로 나오면서 활동하므로 록왕쇠가 되면 잘 드러난다. 그래서 寅卯辰에서는 甲木이 잘 드러나고, 巳午未에서는 丙火(戊土)가 잘 드러난다. 申酉戌에서는 庚金이 잘 드러나고, 亥子丑에서는 壬水가 잘 드러난다.

 

반면 음간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면서 활동하므로 록왕쇠가 되면 깊이 들어가서 보이지 않는다. 음간은 보이지 않으므로 양간에 포함시켜 오행으로 대충 넘어가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양간은 눈에 보이기 때문에 물상(物象) 등을 예를 들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음간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얼버무리기 일쑤다.

 

음과 양은 밤과 낮처럼 반대로 운동한다. 甲木이 봄에 활동했다면 가을에는 乙木이 활동한다. 여름에 丙火(戊土)가 활동했다면 겨울에는 丁火(己土)가 활동한다. 가을에 庚金이 활동했다면 봄에는 辛金이 활동한다. 겨울에 壬水가 활동했다면 여름에는 癸水가 활동한다.

 

앞에서 말한 대로 음간이 록왕쇠로 활동하면 깊이 들어가므로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음을 읽을 수 있어야 음양(陰陽)을 알았다고 할 수 있다. 눈에 보이는 오행은 세 살짜리 아이도 알 수 있다.

글 정보
이전글 2025년 2월 24일 월요일(乙巳년 戊寅월 甲子일)
다음글 2025년 2월 22일 土요일(乙巳년 戊寅월 壬戌일)